우선순위 큐
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자료 구조
- 주요 연산
- Adding(add) : 우선순위 큐에 데이터를 삽입
- Polling(poll) :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데이터를 제거 후 반환
- Peeking(peek) :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데이터를 반환(제거하지 않음)
- 사용 상황(우선순위에 따라 자료를 꺼내야 하는 경우)
- 최단 경로 알고리즘(다익스트라)
- 최소 스패닝 트리(MST) 알고리즘(프림)
- 프로세스 스케줄링
- 시간 복잡도
힙 | |
삽입(Adding) | O(logN) |
다음 값 삭제(Polling) | O(logN) |
다음 값 조회(Peeking) | O(1) |
이진 힙 생성 | O(N) |
특정 값 제거(Removing) | O(N) |
해시 테이블 활용 특정값 제거(Removing) | O(logN) |
포함 확인(Contains) | O(N) |
해시 테이블 활용 포함 확인(Contains) | O(1) |
* 힙으로 구현한 우선순위 큐는 다른 우선순위 큐에 비해 많은 연산에서 시간 복잡도의 이점이 존재
* 해시 테이블 활용 시 추가 공간이 필요하고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는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
힙
힙 속성을 만족하는 완전이진트리 기반 자료 구조
* 힙 속성 : A가 B의 부모노드이면, A의 키값과 B의 키값 사이에는 대소관계가 성립
* 완전이진트리 : 마지막 레벨을 제외하고 모든 레벨이 완전히 채워져 있으며 모든 노드는 가능한 한 왼쪽에 위치
- 종류
- 최대힙 : 부모노드의 키값이 자식노드의 키 값보다 항상 큰 힙
- 최소힙 : 부모노드의 키값이 자식노드의 키 값보다 항상 작은 힙
- 연산 과정
- Adding : 마지막 노드 위치에 데이터를 넣고 부모 노드와 대소관계를 비교하면서 루트 노드 까지 Swap
- Polling
- 루트를 제거하고 반환 후 마지막 노드 값을 제거 후 루트에 넣기
- 자식 노드 값 중 루트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값이 있을 때, 그 값들 중 더 우선순위가 높은 값과 현재 값을 Swap
- 마지막 레벨까지 2번 단계를 반복
- Removing
- 해당 값이 존재하는 노드를 선형 탐색 후, 해당 값을 반환(제거) 후 마지막 노드 값을 제거 후 루트에 넣기
- 제거한 값과 마지막 노드 값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부모 노드(Bubble Up)와 자식 노드(Bubble Down) 중 비교할 곳 정하기
- 다음 노드와 우선순위를 비교하면서 루트 노드(Bubble Up) 혹은 마지막 레벨(Bubble Down)까지 Swap
Priority Queue 구현 예시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Collection;
import java.util.List;
public class BinaryHeap<T extends Comparable<T>> {
private List<T> heap = null;
public BinaryHeap() {
this(1);
}
public BinaryHeap(int size) {
heap = new ArrayList<>(size);
}
public BinaryHeap(T[] elems) {
int heapSize = elems.length;
heap = new ArrayList<T>(heapSize);
for (int i = 0; i < heapSize; i++) heap.add(elems[i]);
for (int i = Math.max(0, (heapSize / 2) - 1); i >= 0; i--) sink(i);
}
public BinaryHeap(Collection<T> elems) {
int heapSize = elems.size();
heap = new ArrayList<T>(heapSize);
heap.addAll(elems);
for (int i = Math.max(0, (heapSize / 2) - 1); i >= 0; i--) sink(i);
}
public boolean isEmpty() {
return size() == 0;
}
public int size() {
return heap.size();
}
public T peek() {
if (isEmpty()) return null;
return heap.get(0);
}
public T poll() {
return removeAt(0);
}
public boolean contains(T elem) {
for (int i = 0; i < size(); i++) if (heap.get(i).equals(elem)) return true;
return false;
}
public void add(T elem) {
if (elem == null)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);
heap.add(elem);
int indexOfLastElem = size() - 1;
swim(indexOfLastElem);
}
private boolean less(int i, int j) {
T node1 = heap.get(i);
T node2 = heap.get(j);
return node1.compareTo(node2) <= 0;
}
private void swim(int k) {
int parent = (k - 1) / 2;
while (k > 0 && less(k, parent)) {
swap(parent, k);
k = parent;
parent = (k - 1) / 2;
}
}
private void sink(int k) {
int heapSize = size();
while (true) {
int left = 2 * k + 1;
int right = 2 * k + 2;
int smallest = left;
if (right < heapSize && less(right, left)) smallest = right;
if (left >= heapSize || less(k, smallest)) break;
swap(smallest, k);
k = smallest;
}
}
private void swap(int i, int j) {
T elem_i = heap.get(i);
T elem_j = heap.get(j);
heap.set(i, elem_j);
heap.set(j, elem_i);
}
public boolean remove(T elem) {
if (elem == null) return false;
for (int i = 0; i < size(); i++) {
if (elem.equals(heap.get(i))) {
removeAt(i);
return true;
}
}
return false;
}
private T removeAt(int i) {
if (isEmpty()) return null;
int indexOfLastElem = size() - 1;
T removed_data = heap.get(i);
swap(i, indexOfLastElem);
heap.remove(indexOfLastElem);
if (i == indexOfLastElem) return removed_data;
T elem = heap.get(i);
sink(i);
if (heap.get(i).equals(elem)) swim(i);
return removed_data;
}
}
'코딩테스트 >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료 구조 (7) : 유니온 파인드(Union Find) (0) | 2025.01.19 |
---|---|
자료 구조 (5) : 큐(Queue) (0) | 2025.01.05 |
자료 구조 (4) : 스택(Stack) (0) | 2024.12.29 |
자료 구조 (3) :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 (0) | 2024.12.22 |
자료 구조 (2) : 배열(Array, List) (1) | 2024.12.14 |